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평 일 09:00 ~ 18:00
  • 토요일 09:00 ~ 14:00
  • 점심시간 13:00 ~ 14:00

*일요일/공휴일 : 휴진*

02-6671-8275

커뮤니티


건강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

제목

걷기 힘든 다리 저림… 척추관협착증, 수술이 답일까?

image

걷거나 오래 서 있으면 다리가 저리고 당기듯 아프다가, 잠시 앉아서 쉬면 통증이 가라앉는다면 단순한 피로가 아닌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주로 50대 이후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허리뼈 속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해 통증과 감각 이상을 유발합니다. 특히 허리 통증과 함께 엉치, 허벅지, 종아리까지 저린 증상이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일상생활의 불편이 점점 커지게 됩니다.

척추관협착증, 진행 양상을 이해하면 관리가 쉬워집니다
척추관협착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증상이 진행되며, 대표적인 특징으로 '간헐적 파행' 증상이 있습니다. 이는 일정 거리 이상 걷거나 서 있으면 다리의 통증이나 저림으로 더 이상 걷기 힘들어지고, 앉아서 잠시 쉬면 통증이 가라앉는 증상입니다.

처음에는 허리만 뻐근하다가 점차 다리까지 저리고 감각이 둔해지며, 심한 경우에는 발에 힘이 빠지거나 균형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초기에는 단순한 허리 통증으로 오인해 방치하기 쉽지만, 증상이 반복되고 점차 보행에 불편이 생긴다면 정형외과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근육과 인대가 약해지고, 디스크가 퇴행되기 때문에 척추 주변 구조가 불안정해지면서 협착이 쉽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꼭 수술해야 할까요? 통증 줄이고 걷기 편해지는 '비수술 치료법'
척추관협착증은 모든 경우에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증상의 정도와 진행 상태에 따라 비수술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호전을 기대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치료로는 약물치료와 신경주사요법이 있으며, 이는 염증을 가라앉히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물리치료나 도수치료도 척추 주위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고 자세를 교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체외충격파 치료나 고주파 신경 차단술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 옵션도 확대되고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맞춤형 치료가 가능합니다.

조기 진단과 꾸준한 관리가 척추 건강을 지키는 열쇠입니다
척추관협착증은 단순히 나이가 들어 생기는 '허리 통증'으로 여겨지기 쉽지만, 실제로는 신경 압박으로 인한 기능 저하와 보행 장애까지 초래할 수 있는 진행성 질환입니다. 그러나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꾸준히 관리하면, 수술 없이도 충분히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통증을 참으며 방치하지 않는 것입니다. 반복되는 다리 저림이나 걷기 불편감이 느껴진다면 단순한 피로나 혈액순환 문제로 넘기지 말고, 가까운 정형외과에서 영상 검사와 전문 진료를 통해 척추 상태를 점검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